본문 바로가기
지역사회복지론에 대하여

전술 선택의 기준

by 칸쵸언니 2023. 3. 19.
반응형

전술 선택의 기준에는 무엇이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첫 번째로 "목표"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전술 선택의 기준에 목표란? 지역사회에 대한 변화 노력이 진행되면서 목표 역시 진화 과정을 겪게 됩니다. 예를 들어 지역사회의 가정 폭력을 해결하기 위해 활동을 하고 있다면 사회실천가들의 변화 노력 덕분에 지역사회에서 가정폭력의 피해자들을 위한 쉼터를 세워야 한다는 공감대가 형성된다는 것입니다. 그렇지만 문제를 분석하는 과정에서 폭력의 잠재적 피해자에 대한 의식과 교육 쪽으로 목표가 옮겨지면 전술도 서비스 옹호에서 임파워먼트를 위한 교육으로 바뀌어야 할 것입니다.

두 번째로 "수혜 집단"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변화를 주도하고 있는 집단이 수혜 집단의 역할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 하는 것도 전술 선택에서 중요한 사항이 되고 있습니다. 참고해야 할 점입니다. 수혜 집단을 서비스의 소비자나 수급자로 여기는 경우에는 협조 전술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장 바람직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반대로 수혜 집단이 유권자의 권력 희생자로 인식된다면 싸움 전술의 효과가 큰 점은 명백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세 번째로 "자원"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특정한 전술을 사용하는 데에는 어떤 자원이 얼마나 필요한지를 정확히 판단해야 합니다. 협조 전술을 사용할 때는 반드시 필요한 자원 중에 하나가 변화 과정에 대한 기술적 전문성입니다. 이것을 갖추었을 때 비로소 변화 노력의 시행 과정을 정확히 평가하고 감시할 수 있습니다. 반면에 싸움 전술을 사용할 경우에는 풍부한 법적 지식과 능숙한 협상력이 요구될 것입니다.

네 번째로 "윤리"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전술의 선택과 사용 과정에서는 윤리 문제를 염두해야 합니다. 지역사회실천의 모든 과정에서 언제든지 불거져 나올 수 있지만 특히 변화 주도 세력의 가치와 표적 집단의 가치가 충돌하는 상황에서는 윤리 문제가 발생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윤리 문제에 대해 지역사회실천에서 지켜야 할 두 가지 원칙이 있습니다. 인간 존중과 비폭력입니다. 다른 염두할 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 번째로 사람을 수단으로 여기지 말고 목적으로 여겨야 합니다. 두 번째로 모든 이의 인권이나 민권 및 법적 권리를 존중해줘야 합니다. 세 번째로 참여자의 자율성과 자결권을 존중해야 합니다. 네 번째로 주어진 상황에서 모든 이에게 최대의 이익이 되는 방향으로 행동해야 합니다. 실행 계획과 전술이 확정되면 계획을 따라서 실천에 옮겨야 합니다. 모든 참여자들이 정기적으로 만나서 실천 계획의 진행 상태를 점검하고 상황에 따라서 필요한 조정과 수정을 해야 합니다. 지역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변화의 노력은 몇 달에서 몇 년을 필요합니다. 그래서 평가(evaluation)가 중요합니다. 변화의 노력이 실패로 판명되어도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을 찾고 많은 시간이 흘러가기 전에 사실을 알아야 합니다. 지속적인 평가 안에서 이루어져야 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