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사회복지론에 대하여23 로스만 모델의 세가지 개입유형 로스만 모델의 세 가지 개입 유형은 사회행동, 사회계획 및 정책, 지역사회개발이 있습니다. 먼저 사회행동 유형의 일차적인 가정은 부당한 대우나 불이익을 받는 집단이 사회에 존재합니다. 이들은 집합적인 행동을 통해서 공정한 자원배분과 동등한 대우를 요구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러한 유형의 지역사회개입은 권력이나 자원의 재분배가 되고 의사결정 과정에서 주변집단을 참여시키는 것을 포함 지역사회의 근본적인 변화를 목적으로 합니다. 사회행동 방식의 실천가들은 가난하고 억눌린 소외된 사람들의 이익을 위해서 일하고 있습니다. 또한 이들의 역량을 강화시키는 일에 역점을 두고 있습니다. 사회행동 방식은 다분히 적대적이고 사회정의를 지배적인 이념으로 삼고 있습니다. 사회행동 방식은 여성운동이나 환경운동 빈민운동 등의 다양한.. 2023. 3. 10. 자원동원이론 자원동이론은 사회운동조직의 역할과 한계를 규명하는 이론입니다. 자원동이론은 사회적 불만의 팽배를 사회운동의 직접적인 원인으로 보는 전통적 시각을 비판하는 데에서 출발합니다. 사회에서는 집합 행동(Collective action)이 일어날 수 있는 여건이 항상 존재하고 있습니다. 대규모의 사회적인 불만으로 칭합니다. 그렇지만 이러한 것만 가지고는 집합행동이 실제로 일어나지는 않습니다. 집합행동이 발생하려면 계기(trigger event)가 필요합니다. 운동가들은 이 계기를 만들어 내는 사람들입니다. 운동가들이 조직을 바탕으로 움직이며 조직을 만들고 움직이는데 필요한 자원 및 자원의 유무에 따라서 운동의 성패가 결정되기도 합니다. 자원에는 정보와 돈과 사람은 물론 조직원 간의 연대성이 포함됩니다. 운동이 목.. 2023. 3. 9. 권력관계이론 권력관계이론은 사회의 권력 현상에 초점을 맞추는 이론을 칭하는 용어입니다. 갈등이론과 교환이론 자원동이론을 중심적으로 알아보겠습니다. 첫 번째 갈등이론이란 체계이론과는 반대 관점에 있는 이론입니다. 갈등을 사회의 본질적인 현상으로 파악합니다. 갈등이론에 따르면 갈등은 희소한 자원의 배분을 둘러싸고 일어나는 싸움입니다. 따라서 갈등이론은 기능론이나 사회체계이론과는 다르게 사회가 분열되어 있다고 봅니다. 사회가 일시적으로 안정을 이루는 경우가 없지는 않습니다. 그렇지만 그것은 사회가 새로운 균형 상태에 도달해서가 아닙니다. 한 집단이 다른 집단의 지배에 성공했기 때문에 이루어진 안정이라고 봅니다. 갈등이론에서는 이 갈등을 사회를 변화시키는 동력이라고 여기기도 합니다. 이런 갈등이론을 지역사회에 구체적으로 적.. 2023. 3. 8. 생태체계이론 생태체계이론은 체계이론에다 생태학적 관심을 덧붙인 것입니다. 생태이론으로부터 적응이나 상호작용의 개념을 도입했습니다. 체계이론은 체계의 위계와 항상성(homeostasis) 그리고 환류(feedback)와 같은 개념을 빌려 왔습니다. 이 두 이론은 여러 가지 개념들을 공유하고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양자를 결합해서 한결 강력한 이론적인 틀을 만드는 것이 가능했습니다. 생태체계이론은 사회복지학뿐만 아니라 가정학이나 심리학 교육학 등의 분야에서도 널리 쓰이고 있습니다. 생태체계이론은 인간과 인간을 둘러싼 사회 환경을 별개로 보지 않습니다. 하나의 거대한 체계로 파악하고 있습니다. 생태체계이론의 기본 가정은 하나의 체계적인 인간이 사회 환경 내부의 다른 체계들과 끊임없이 역동적인 상호작용을 하고 있다고 볼 .. 2023. 3. 7. 이전 1 2 3 4 5 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