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지역사회복지의 시초는 자선조직협회와 세틀먼트 운동입니다. 영국과 시초는 같았습니다. 미국의 지역사회복지는 지속적으로 발전해 왔습니다. 미국의 COS와 세틀먼트 운동은 사회복지 대학이나 학과 창설과정이 빨리 이루어지도록 했습니다. 영국의 경우는 국가복지가 발전하게 되면서 지역사회복지의 세력이 줄어들었지만 미국은 반대의 작용을 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미국의 첫 자선조직협회 COS는 거어틴(Stephen Gurteen) 목사의 주도로 설립되었습니다. 때는 1877년 뉴욕 주 버팔로(Buffalo)에 설립되었습니다. 미국 COS의 주된 임무는 영국과 같았습니다. 빈민들의 구호의존을 근절하고 빈민 구호 단체의 업무를 조정했습니다. 미국도 호별 방문을 통한 사실 확인을 제시하게 되었습니다. 빈민들의 의존의 문제로 심각한 반대와 비판적인 여론 때문이었습니다. 유일하게 해결할 수 있는 호별 방문으로 정확한 조사와 평가를 통해 구호를 제공하는 것이 과학적 자선이라고 믿었습니다. 호별 방문을 담당했던 사람들은 대부분 상류층 여성들이었습니다. 도움이 필요한 빈민들의 집을 개별적으로 방문하였고 필요한 자료를 수집했습니다. 그러고 나서 이것을 바탕으로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자격이 갖추어진 사람인지 (the worthy) 그렇지 않은 사람인지 (the unworthy)를 구분하였습니다. 방문자들은 조사를 하면서 그들에게 자립에 대한 근면의 가치를 알려주고 훈계하는 일도 했습니다. 미국의 COS는 개인주의와 자유방임주의가 지배하는 곳에서 활동하였습니다. 미국도 마찬가지로 영국의 COS가 가지고 있던 문제점이 드러났습니다. 바로 COS활동가들의 우월주의로 인해 COS 방문자들에 대한 빈민들의 태도가 긍정적이지 않았습니다. 활동가들은 자신들이 우애 방문(friendly visit)이라고 주장하였지만 내재된 도덕적 우월감으로 그들을 동등한 인격체로 보지 않았습니다. 빈곤을 개인의 도덕적인 결함에서 발생한다고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COS에 대해 상당수 개혁 지향적인 사람들은 비판적인 견해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어떤 사람들은 동냥이 아니라 친구를! (not alms but a friend)이라는 COS의 구호를 비꼬았는데 그는 동냥도 안 주고 친구 노릇도 안 한다(neither alms nor a friend)라고 말했습니다. 제인 애덤스(Jane Addams)는 COS의 호별 방문자들은 차갑고 인색한 사람이라고 했으며 그들의 과학적 자선은 부정적인 사이비 과학에 지나지 않는다고 강도 높게 비판하기도 했습니다. 미국 뉴욕(New York)에 최초의 세틀먼트가 세워졌습니다. 영국에서 토인비 홀이 세운 지 2년 만의 일이었습니다. 3년 뒤 헐 하우스(Hull House)가 시카고 빈민가에 세우게 되었습니다. 헐 하우스는 후일 미국 세틀먼트의 대명사가 되었습니다. 애덤스가 만든 원칙을 따르며 사회적, 교육적, 인도주의적, 시민 생활 의 네 분야에서 서비스 활동을 제공하였습니다. 세틀먼트의 활동은 오늘날의 지역사회복지관이 제공하는 서비스가 모두 포함되어 있습니다. 세분화로 보게 되면 여름 캠프, 유치원, 축제, 문맹 퇴치 활동, 대학 공개강좌, 민속 축제, 공중목욕탕 등이 있습니다. 세틀먼트의 활동은 현대 사회복지의 그룹 웍(group work)이 이어받고 있습니다. 세틀먼트는 미국 전 도시에 급속도로 퍼지게 되었습니다. 1900년경에는 100개가 넘었습니다. 1911년에 이르러서는 전국적으로 무려 400개가 넘는 세틀먼트가 생겼고 도시의 각종 문제를 다루게 되었습니다. 초창기 COS의 지도자들이 상류층으로 구성되었던 과는 다르게 세틀먼트 활동가들은 중산층 출신의 대졸 여성이 자리 잡고 있었습니다. 이들의 사상적 기반이 사회진화론보다는 자유주의와 개신교 사회복음(social gospel)에 뿌리를 두고 있었음을 엿볼 수 있습니다. 세틀먼트 활동가들은 빈민과의 동등한 관계 형성을 강조하였습니다. 이들의 궁극적인 목표는 만연하기만 한 계급갈등과 노사갈등을 지역사회 수준에서 조정하여 사회적인 조화를 이루는 것이었습니다. 빈곤 해결 자체에 목적을 두었던 것입니다. COS 활동가들은 빈민들의 구호와 의존 문제에 초점을 맞춘 것 과는 달랐습니다. 세틀먼트 활동가들은 또한 COS의 온정주의적 태도를 비판하기도 했습니다. 이들 중 일부 진보적인 활동가들은 지역사회 활동에서만 그치지 않고 도시와 주(state) 모든 곳에서 빈민 지역의 문제를 개선하였고 사회개혁 운동도 펼쳐 나갔습니다. 이런 노력이 있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빈민 지역의 환경이 크게 개선되거나 사회적인 신분 및 힘이 성장하지는 못했습니다. 그 이유로 보았을 때 세틀먼트 활동가들은 빈곤의 근본적인 원인에 관해서는 소극적인 모습을 보였기 때문입니다. COS와는 차별성을 두었고 다각적인 사회개혁을 펼쳤지만 이들의 초점이 사회문제에 있었지 정치나 경제적인 쟁점에 있지는 않았습니다. 이들은 COS와는 다르게 주민 참여를 극대화하는 방법보다는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에만 치중했습니다. 이것이 세틀먼트 운동의 한계가 되었습니다. 빈민 지역의 임대주택 문제만 보더라도 빈민과 함께 해결 방법을 찾기보다는 정부나 집주인과 같은 기득권 세력에게 호소하여 오히려 외부 의존도를 강화하는 악효과를 보았습니다. 물론 실용주의적 접근으로 보고 긍정적으로 평가를 받기도 했지만 이들이 내세웠던 동등한 관계형성이라는 목표와는 거리가 멀었으며 엘리트주의의 성격을 벗어나지 못했다는 비판을 받았습니다.
'지역사회복지론에 대하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수주의로의 회귀와 한국 지역사회복지 발달 과정 (0) | 2023.03.04 |
---|---|
미국 지역사회 복지 발달 과정 2 (0) | 2023.03.03 |
영국에서 지역복지 발달 과정 (0) | 2023.03.01 |
지역사회복지 목적과 역사적 전개 (0) | 2023.02.28 |
지역사회복지의 관련과 개념에 대하여 (0) | 2023.02.27 |
댓글